15세기의 우리말 반야심경
15세기 우리말 반야심경
가, 전산화본
『반야심경언해』과문교정본
『반야심경언해』를 과문(科文) 구조에 따라 편집하고, 『반야심경약소』와 『약소현정기』2종의 주석서를 CBETA본 원전과 대교...
이바지
성중에 장자와 거사가 함께 중 이바도리라.
반승(飯僧), 스님들에게 밥을 먹이는 일입니다. 언해불전은 '중을 이받다'라고 새깁니다.
이받다. [옛말]
대접하다. 봉양하다.
이바디. [옛말]
잔치의...
언해불전연구소
우리말로 사랑하는 완벽한 모델
어찌 이름이 중생의 세계요?
세(世)는 올마흘롬이오, 계(界)는 방위이니,
일체 중생이 망(妄)을 짜 서로 이루어 몸 가운데로 바꾸어 옮겨,
세와 계가 서로 든다.
‹능...
운허스님
경전 한글화의 새벽을 여신 분
운허스님의 속명은 학수(學洙), 법호는 운허(耘虛), 법명은 용하(龍夏)이다. 청년기에는 일제의 침략에 당당히 맞선 항일투사, 종교인으로서는 불경의 번역가, 교육자로서는 후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