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5세기 우리말 반야심경
가, 전산화본
- 『반야심경언해』과문교정본
- 『반야심경언해』를 과문(科文) 구조에 따라 편집하고, 『반야심경약소』와 『약소현정기』2종의 주석서를 CBETA본 원전과 대교한 교정본(전문가용 기초자료)
- 방점을 뺀 편집본
- 우리말 방점을 빼 찾아보기에 편하도록 편집
- 『반야심경언해』역해본(Mobile)
-
- 일반 사용자를 위해 번역문과 풀이를 요즘 말로 바꾸어 편집한 자료
- 약소와 현정기 과문의 과목을 우리말로 번역하고, 과목의 구조에 따라 번역문과 풀이를 함께 편집
- 언해본에서 번역하지 않은 현정기를 우리말로 번역하여 원문과 함께 편집
- 문화재청 기록유산사이트의 원문이미지와 페이지 단위 링크
- 문화재청 사이트의 보안프로그램 상태에 따라 접속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음
나, 전산화본 개요
- 문화체육관광부 지원으로 추진하고 있는 “언해불전공동연구시스템 구축 및 역해사업”의 일환으로 전산화/역해한 자료입니다.
- 소요산 자재암 소장 『반야심경언해』(보물 제 1211호)를 저본으로, 대만 중화전자불전협회의 판본과 대교한 교정본입니다.
- 언해불전의 과문구조를 지원하기 위한 전용앱으로 변환 지원합니다.
- 자료의 구조와 활용 방법
다, 전산화본 시연회
- 언해불전의 과문(科文) 구조는 매우 유용한 형식이지만, 처음 접하는 이들에게는 낯설고 까다로운 형식입니다.
- 그러나, 시각적으로 구현한 과문 구조는 몇 차례 보기만 해도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간단한 형식입니다. 따라서, 전산화본의 공개와 함께 시연회를 열어 쉽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합니다.
- 전산화본 및 역해본 공개기념회
- 일시: 2019년 12월 6일(금) 오후 2시
- 장소: 봉은사 보우당(서울 강남구 삼성1동 봉은사로 531)
- 문의: 02-3216-6443, keearom@gmail.com)
- 『반야심경언해』는 접하기 쉬운 자료는 아닙니다. 그러나, 편집형식에 대한 간단한 이해만 거친다면, 매우 친철하고 알기 쉬운 자료이기도 합니다. 명실상부 반야심경을 우리말로 읽고 사유하는 모범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우리 연구소에서는 전산화본과 역해본을 공개하면서, 읽기 모임을 지속적으로 이어갈 계획입니다. 많은 동참을 바랍니다.